* Frame Relay *
- 패킷 교환 방식의 하나로, 빠르고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을 지원
- 연결된 장치간 HDLC 캡슐화를 사용해 가상회선을 처리하는 기술
- 오류 정정 기능을 생략하고 단순화된 프레이밍을 사용해 고속 전송
- 데이터링크 계층과 물리계층 사이에서 동작
- DTE : 고객의 장비
- DCE : 서비스 제공자의 frame relay switch
- SDM : 가상회선을 다중화하는 기술. 이 방식에서 DLCI가 DTE와 DCE 장치 쌍에 할당됨
- DCE와 DTE 간에 영구적인 연결이 미리 설정되어 있음(PVC)
- 데이터 전송과, 유휴(Idle) 상태가 있음
- DLCI : 데이터 링크 연결 식별자는 가상 회선을 식별하는데 사용됨
- FECN : 수신측에서 혼잡 제어
- BECN : 송신측에서 혼잡 제어
- LMI : DLCI의 할당을 관리하는 신호 표준
- Subinterface : 하나의 물리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여러개의 논리적 인터페이스로 나눔
- Virtual Circuit : 논리적 회선
- CIR : 서비스 제공자가 보장하는 전송 속
* Routing Protocol *
- RIP : 내부 라우팅으로 hop counts
- OSPF : 내부 라우팅으로 Autonomous system을 구역으로 나누어 링크 기반 라우팅
- BGP : 외부 라우팅으로 path vector routing